🌍 글로벌 도전
☝️ 코로나19 펜데믹, 우크라이나-러시아 전쟁, AI의 도약 등 2020년부터 2030년의 10년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혁명과 무브먼트의 시대
✌️ 특히 'Heartland' 이론(유라시아의 중심을 장악하는 자가 세계 패권을 차지한다는 이론)에 따라, 우크라이나 사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짐
🧐 우크라이나 사태 파급효과 및 교훈
1) 우크라이나-러시아 전쟁은 다양한 국가와 세계질서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음
- 우크라이나 : 외교 주권 확보를 위한 전쟁
- 러시아 : 패권 경쟁의 교두보
- 미국&서방 : 자유민주주의체제 수호
2) 영국의 '이코노미스트'를 발간하는 Economist Intelligence Unit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사태는 아래와 같은 파급효과가 예상됨
- 유럽 내 분열 야기
- 탈냉전질서의 종말
- 러-중 전략동맹 심화
- 세계의 적대적 양극화
- 미국의 중국 대응 노력 제약
- 세계 군비 경쟁 가속화
- 독일의 유럽 내 안보역할 적극화 가능
- 유럽의 안보위상 숙고 촉진
- 민주-권위주의 진영 간 대립 심화
- 여타 부쟁에의 부정적 효과 등
3) 우크라이나 사태를 통해 '정치의 본질과 강대국의 민낯'을 이해하고, 동맹과 가치 공유 우방의 중요성 등을 교훈으로 삼아야 함
🔍 비전(Partnership)
1) 농업 메가 프로젝트 : 우크라이나의 농지 100만 헥타르를 확보하여 미래 농업 산업 준비
2) 국내 정치 인사이트 : UN SDG가 세계가 지속가능한 길로 나아가기 위한 공동 우선 목표로 확립
📝 마스터플랜 개요
: 마스터플랜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분석하여 네트워크 구축 및 우크라이나 국가 재건 의제를 지속 해결해야 함
✅ 전후복구 참여 중요성
- 국제 사회의 동향
- 자유 민주주의 연대/안보/G8 등
- 우리의 특수성과 기회
- 한국-우크라이나 양국관계의 획기적 발전
- 대유라시아 SDGs 실크로드 구축 대장정
✅ 전후 복구 비전
- 드니프르 강의 기적 구현
- 동유럽에 제2의 한국 구축
- 제2의 베트남화를 지향
- 제2의 태안반도 무브트 지향
- 대유럽, 중동아 생산, 수출, 물류 허브 구축
- 교육과학 기술 창업 플랫폼 구축